

포천시 환경미화원 연합노동조합(교섭 대표 박용석 위원장, 이하 '노조')은 지난 8월 말경 포천시와 연말 성과급 지급에 관한 협상을 진행했으나 상호 이견으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노조는 현재 권역별로 다르게 지급되고 있는 연말 성과급을 모든 조합원이 동일하게 지급받을 수 있도록 요구했지만, 포천시는 이 내용이 규정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이견을 제시했다. 여기에 포천시는 그동안 노조에 지급해 왔던 '근로시간면제 '타임 오프'(Tlme Off) 비용(노조 근무자는 일하지 않아도 근무한 것으로 인정해 지급하는 금액) 중 2025년도에 지급한 비용을 환수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상태다.
이에 반발한 노조는 지난 9월 1일부터 불법 배출 생활쓰레기에 대한 미수거에 들어갔다. 노조는 포천시와 불편한 관계를 대변하듯 시민들에게 공지 한번 없이 일방적으로 쓰레기 수거 방법을 변경했다. 지금까지 해왔던 혼합 수거 방법은 불법이므로 앞으로 이 방법으로는 쓰레기를 수거하지 않겠다는 것. 그동안 노조는 일반생활쓰레기(종량제 봉투) 수거 차량에 재활용품 및 대형폐기물 등을 혼합 수거 방법으로 수거해 왔다. 그런데 9월 1일부터는 혼합 수거를 하지 않고 성상별로 각각 수거하기 시작했다.
이로써 인력과 차량이 모자라 기존의 대형폐기물과 재활용품(비닐, 스티로폼 등) 수거는 자연스럽게 지연될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조합원인 환경미화원이 현장에서 저울로 쓰레기 무게를 일일이 재면서 무게가 초과한 쓰레기와 기준선을 초과해 배출된 쓰레기는 수거를 거부했다. 한 예로 75L 봉투에 담긴 쓰레기가 나오면 환경미화원은 가지고 다니는 손저울로 직접 무게를 계량하고 그 무게가 19kg이 넘으면 수거하지 않고 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노조의 미수거가 계속된다면 필수적인 공공서비스인 쓰레기 수거를 제대로 할 수 없는 결과를 낳고 있다. 이러한 노조의 집단행동은 쓰레기 방치로 이어지고, 더 나아가 악취와 위생 문제로까지 번지고 있다. 문제는 이 사태가 조속한 시일 내에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노조는 이런 시민들의 불편함을 무기로 시와의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해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시키려고 하고 있다. 이로 인한 가장 큰 피해자는 결국 시민일 수밖에 없다.
현재 포천시와 포천시 환경미화원 노조 사이에는 전혀 타협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고 있는 상태다. 이런 식이라면 다가오는 추석 무렵에는 '포천시의 쓰레기 대란'을 예고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쓰레기가 예전처럼 제때 제대로 치워지지 않으니, 시민들의 민원은 날마다 폭증하는 것은 당연지사다.
시민들은 포천시 환경 담당 부서나 14개 읍면동에 민원을 넣는데, 이 민원을 받은 시와 읍면동 관계 공무원들은 다시 포천시 4개 권역의 쓰레기 수거 용역업체에 민원을 처리하라고 연락할 수밖에 없다. 시와의 계약 관계로 '을'이 될 수밖에 없는 용역업체는 임직원까지 동원해 예비 차를 동원하고 추가 운행까지 하면서 민원 해결에 나서지만, 노조의 재활용품 및 대형폐기물 수거 지연을 현실적으로 처리하기에는 역부족으로 보인다.
시민의 민원은 고스란히 용역업체의 책임으로 돌아오고 있고, 용역업체는 업체의 이미지 훼손과 재정적 손실까지 이중, 삼중으로 고통을 겪고 있다. 아무런 권한도 힘도 없는 용역업체는 '시와 노조라는 고래 싸움에 새우등이 터지고 있는 꼴'이 될 수밖에 없어 보인다.
현재 포천시는 시 전체를 4개의 권역으로 나누고, 4곳의 청소 용역업체를 선정해 쓰레기 수거를 담당하게 했다. 1권역은 제이피환경이 담당하고 있는데, 인구가 5만 3731명(38%)으로 가장 많은 소흘읍과 내촌면, 가산면의 쓰레기 처리를 맡고 있다. 2권역은 뉴크린텍이 맡은 포천동과 선단동, 군내면 지역으로 이곳 인구는 4만 3170명(30%)이다. 3권역은 송림이 맡은 신북면, 창수면, 관인면, 영북면 등 4개 면으로 이곳 인구는 2만 3411(17%)명이 거주하는 지역이다. 마지막 4권역은 영북환경 담당인데 일동면, 이동면, 화현면, 영중면 등 4개 면 지역으로 이곳 인구는 2만 1513명(15%)이 거주한다.
각 권역의 쓰레기 수거량은 거의 인구수에 비례해서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1권역은 2024년 기준으로 연 1만 4240톤(38%), 2권역은 1만 894톤(28%), 3권역은 6393톤(17%), 4권역은 6702톤(18%)이 발생했다. 이 수치를 살펴보면 1권역과 2권역은 인구수 및 쓰레기 수거량이 3권역과 4권역에 비해 거의 2배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1권역과 2권역은 노조의 불법 배출생활쓰레기 미수거로 받는 피해도 그만큼 클 수밖에 없다. 민원 발생도 상대적으로 많다.
포천시가 용역업체가 담당하는 권역을 나눌 때 인구수를 생각하지 않고 행정 편의적으로 서로 가까운 읍면동을 붙여서 나누었기 때문에 1, 2권역은 일도 많고 성과급도 3, 4권역에 비해 연 수백만 원씩 차이가 나면서 직원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청소 용역업체에 따르면 한 권역이 담당하는 읍면동이 서로 멀리 떨어져 있어도 아무런 관계가 없다고 입을 모은다. 쓰레기를 수거해 결국 포천의 중앙인 신북면 환경자원센터로 가야 하기 때문이다.
노조의 불법 배출 생활쓰레기 미수거가 장기화할 경우, 시민들의 불편은 불가피할 수밖에 없다. 여기에 아무런 권한도 없는 용역업체의 피해도 커질 전망이다.
특히, 민족의 명절이라는 추석을 앞두고 '포천시 쓰레기 대란'이라는 이야기가 들려오지 않도록 포천시와 노조의 적극적인 해결 의지와 방안 모색을 서둘러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