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25일, 제5군단과 (주) 엔브이티(이하 군·용역으로 표기)는 선단동 행정복지센터 3층 강당에서 선단동 주민들을 대상으로 '제15항공단 비행장 소음 영향도 조사 용역 사업 설명회'를 가졌다. 이날 설명회에는 관계 공무원, 마을 통장, 주민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측정은 5년 전 소음 영향 조사에 이어 두 번째 실시했다. 군·용역 관계자의 설명에 이어 주민과의 질의와 응답 시간을 가졌다.
주민 A모 씨는 "이틀 전에 30분 동안 측정을 했는데 헬기가 10번을 왔다 갔다 해요. 아이파크도 살아봤지만, 문을 못 열어요"라며 "측정치는 75까지가 최대치다. 이거 5군단에서 항목 변경을 해 주던가 제발 포천 사람들 살게 해달라. 50년 전 안보와 지금의 안보는 다르다"라고 하소연했다.
주민 B모 씨는 "지금 이 자리 나오신 군·용역 관계자가 설명만 하는 거지, 우리 건의 사항은 해결을 못 해주는 거 아니냐?"라며 "법법하며 설명하면 여기 참석한 사람 이해 못합니다. 기준을 80데시빌 하면 할 필요 없다"라고 딱 잘라 말했다.
주민 C모 씨는 "80데시빌 이상 나와야 보상받는다. 지금 해봐야 소용없다. 용역하지말고 국방부 돈이나 아껴라"며 "선단동은 군 협의, 고도 제한으로 70년을 피해 봤다. 오죽하면 헬기 때문에 내가 가는 귀가 먹었다"고 울분을 터트렸다.
이어 "보상 3, 4만 원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수송기가 뜰 때 우하고 진동이 울려요. 세창아파트에 국방부 장관께 일주일만 살다 가시라고 해라. 아마 까무러치실 거다"며 "우리가 요구하는 것은 40데시빌 즉 현실성 있게 낮춰야 하고, 법정 주민들한테 다 보상을 해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군·용역 관계자는 "지근 군단하고 우리 비행단하고 저희 용역사하고 얘기해서 최대한 주민들한테 유리한 방향으로 자료를 만들고 그다음에 최대한 그렇게 해석할 수 있도록 그렇게 할 거다"라고 밝혔다.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따라야 한다는 것이 이재명 정부의 기조이다. 지난 희생에 대해 포천시는 절실하게 민·관이 노력했는지 반성해야 한다. 노곡리 오폭 사고와 연계해 옛 6군단 부지 문제, 제15항공단 이전, 무봉리 탄약고 등 각종 현안 사항을 협상 테이블에 올리는 시도조차 하지 못했다. 천재일우의 기회를 날렸다.
국방부, 공군사령부도 아닌 포천시청 옆 도로에서 궐기대회 한 차례로 끝냈다.
[ 포천좋은신문 김재완 기자, 문석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