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찰청 전경=부산 경찰청 제공.
지난 4월 13일 포천에서 공무원 압수수색을 시작으로 100여일 동안 끌어왔던 포천 평강랜드 사건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부산경찰청 반부패 경제범죄수사대는 20일 3,000억원대의 투자금을 가로챈 혐의로 평강랜드의 모회사인 유사수신업체 회장 A씨 부부 등 14명을 조사한 끝에 이 중 3명을 구속했다고 발표했다. 이 사건과 관련돼 조사를 받은 사람은 유사수신업체 관계자뿐만 아니라, 이들에게 청탁을 받고 금품을 챙긴 부산 출신의 전직 경찰 등도 포함됐다.
부산경찰청에 따르면 구속된 유사수신업체 회장 A씨 등은 2016년부터 올해 초까지 피해자 2천 800여명에게 투자금 명목으로 3천 59억원을 받은 혐의다. 경찰은 A 회장이 투자자들에게 부실채권 매각, 부동산 경매 등의 방식을 통해 원금을 보장하고 연평균 30%의 높은 수익금을 지급하겠다며 돈을 가로챘다고 밝혔다.
피해자 중에는 예비 신혼부부, 일용직 노동자 등도 다수 포함돼 있었는데, 이들은 어렵게 모아온 자금을 모두 날리게 되었다며 허탈해했다. 이들 피해자들은 해당 업체가 인허가를 받지 않은 업체인 것을 전혀 몰랐다며 사기를 당했다고 주장했다.
경찰은 피해금 중 많은 돈이 땅 투기 자금으로 흘러갔다고 밝혔는데, 유사수신업체는 2개 농업법인을 포함한 6개 법인 명의로 경기 포천, 서울 강남·중랑구, 경남 거창·거제 등 74개 부동산 1천억원어치를 사들였다. 이 가운데 대부분의 자금은 포천 일대 부동산 구입에 사용된 것으로 드러났는데, 포천에서만 15개 부동산 구입에 850억원 가량을 투자했다.
유사수신업체 회장 등 범행 핵심 인물들은 피해자들의 투자금으로 돈 잔치를 벌였던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회장과 회장의 사실혼 관계의 부인, 자녀 등이 임원으로 회사에 이름을 올리고 5년간 70억원의 월급을 받아가 외제 차를 모는 등 호화 생활을 해왔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경찰은 부패 재산의 몰수 및 회복에 관한 특례법에 따라 유사수신업체가 소유한 1천억대 부동산과 채권·예금 등을 모두 합쳐 1천 455억원을 몰수 추징 보전했다고 밝혔다. 이렇게 보전된 재산은 유죄 판결이 확정될 경우 피해자들의 피해 복구에 쓰일 예정이다.
이날 부산경찰청이 수사를 시작한 이후 처음으로 발표한 중간 수사결과를 본 대부분의 포천시민들은 '빈 깡통이 소리만 요란하다'는 말처럼 지난 100여일 동안 수사팀을 3팀이나 꾸려가며 포천 일대에서 떠들썩하며 조사했던 것에 비해 '결과는 없다'라는 평가다. 평강랜드 관련 '포천 땅투기 사건'은 이렇게 소리만 요란했고 확인되지도 않은 숱한 소문만 남긴 채 서서히 마무리 되는 모양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