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천시는 24일 '포천 한탄강 지방정원 기본계획 및 타당성 검토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포천시가 한탄강 홍수터를 지방정원에 이어 국가정원으로 조성하는 사업에 첫 발을 내딛었다.
시는 24일 포천시청 시정회의실에서 '포천 한탄강 지방정원 기본계획 및 타당성 검토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에는 박윤국 시장과 심창보 부시장, 임우상 한탄강사업소장, 이우석 생태공원과장, 윤숭재 관광사업과장 등 시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자문위원으로 위촉된 유동환 건국대 교수와 최종희 배제대 교수, 임봉구 서울대 환경생태계획연구센터 센터장은 토론을 통해 한탄강 홍수터 부지가 성공적으로 공원화할 수 있는 실무적 아이디어를 제공했다.
▲ 보고회에는 박윤국 시장과 심창보 부시장, 임우상 한탄강사업소장, 이우석 생태공원과장, 윤숭재 관광사업과장 등 시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용역사인 ㈜예건엔지니어링의 서민옥 이사는 보고회에서 SWOT 분석을 통해 한탄강 홍수터 부지는 우수한 경관과 다수의 관광자원 인접, 이용 가능한 대규모 평탄지 확보에 강점이 있다고 분석했다. 약점으로는 접근성이 어렵다는 점과 법적 환경 제약 등을 꼽았다.
서 이사는 한탄강 홍수터의 지방정원화는 연천, 철원과의 시너지 효과가 있고, 유네스코 지질공원 등재의 기회도 있지만, 인접 지자체와의 경쟁에서는 유사시설로 오히려 불리한 점도 있다고 보고했다. 그는 한탄강 홍수터 부지는 이런한 분석 결과로 상징성과 차별성, 경제성, 지속성에 주안점을 두고 공원조성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윤국 포천시장은 인사말에서 "포천은 국립수목원과 한탄강 세계지질공원 등 2개의 세계문화유산을 가지고 있다"면서 "한탄강 홍수터 부지에 조성하는 정원이 지방정원을 넘어 국가정원으로 등록하는 사업을 추진하면서 보존에도 소홀하지 않도록 해 달라"고 부탁했다.
한편, 현재 우리나라에 지방정원은 양평 세미원, 담양 죽녹원 2곳이며, 등록 후 사업 추진 중인 곳이 23곳이 있다. 국가정원은 태화강 국가정원, 순천만 국가정원 등 2개가 있다.
지방정원이 되기 위해서는 3종 이상의 정원과 10만㎡ 이상의 총면적을 확보한 후 국토부의 확인을 받아야하고, 지방정원이 된 후 3년간 운영한 후 평가결과 70점이 넘으면서 5종 이상의 정원과 40% 이상의 녹지 면적, 그리고 30만㎡ 이상의 면적을 가진 공원이 국가정원의 자격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