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

복잡한 셈법의 7월 사무관 승진 인사, 관심 집중

상식과 종합적으로 판단해 객관적, 정당성 확보에 중점 둔 인사를 할 듯

 

올 7월 사무관 승진 인사를 앞두고 시 공직사회 내부는 믈론 대상 공직자들은 초미의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관계부서에서 결재권자에게 인사 방침 기본안을 올린 것으로 알려져 그 결정에 새로운 긴장감이 고조되는 분위기다.

 

올 6월에 4명의 사무관급 이상이 명예퇴직 또는 공로 연수를 했거나 할 예정이다. 행정, 세무, 지적 등 다양한 직렬(직류)의 관련 공무원으로 인해 승진 대상자 선택 직류의 함수관계가 복잡해졌다.

 

시 공무원 현황 비율을 살펴보면, 사회복지직 공무원은 93명으로 전체 공무원 중 8.7%를 차지하나 사무관은 3.6%인 2명에 불과해 현원 대비에 한참 못미치는 수치에 있다.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복지 분야 사업이 확대되는 시대적 흐름에 걸맞게 사무관 증원이 나와야 한다는 의견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세무직 공무원은 40명으로 전체 공무원 중 3.7%로 관계 사무관은 2명으로 3.6%의 엇비슷한 비율을 나타내 퇴직 등으로 1명 결원 시 업무 특성상 전문성 필요와 타당성 확보가 된다는 주장이 같은 직렬 공무원들 사이에 나오고 있다. 

 

공업직 공무원은 44명으로 시 공무원 중 4.1%를 차지하나 사무관은 1명으로 1.8% 비율을 나타낸다. 수치상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공업 공무원들의 사기가 떨어지고 있다는 푸념이 괜한 말로 들리지 않은 이유다. 

 

반면, 농업직 공무원은 41명으로 전체 3.8%이지만 사무관 비율은 7.3%를 차지해 현원에 비해 2배 이상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녹지직 공무원은 24명으로 전체 공무원의 2.2%인데 비해 사무관은 3.6%를 차지하고 있다. 지적 공무원은 전체 2.1%지만 사무관 비율은 5.5%로 작년 12월을 포함해 총 2명이 떠나는 현실에서 1명은 충원해 점진적인 조정을 해야 한다는 내부 여론도 있다.   

 

공무원 현원 비율 수치 상을 대비해 승진 대상자를 정률적 기준으로 정할 수 없는 것이 인사의 어려움이다. 인사는 복합 함수라 할 수 있다. 공직 내부에서도 '80년 후반~90년 초에 공직에 입문한 60년대생 등 경력 대상자를 우선 해야 한다느니, 복지·세무 등 전문성 분야 대상자를 우선해야 한다'는 등의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직렬별 입장에서 주장하는 각론에서 생각이 다르더라도 총체적으로 봐야 하고 포용해야 한다. 그래야 잡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 제한된 선택지에 솔로몬의 지혜가 필요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