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묘가 가족 모두의 산책이 되고 힐링이 되며 생전 부모님과의 추억을 가족들과 공유하는 아름다운 시간이 될 수는 없을까? 일 년에 한두 번만이 아니라 더 자주, 더 반가운 마음으로 찾아뵙는 것이야말로 영면하신 부모님이 바라시는 것이 아닐까? 이러한 생각들이 모여 이제 성묘 문화가 달라지고 있다. 그 생각의 중심에 있는 영혼의 쉼터가 바로 광릉추모공원 내에 위치한 새로운 개념의 고품격 봉안당 광릉 더 크레스트이다.
새로운 개념의 고품격 봉안당,
광릉 더 크레스트!
55년 전통의 광릉추모공원이 오랜 시간 최고의 정성을 들여 완성한 봉안당, 광릉 더 크레스트가 드디어 올해 11월에 준공되었다.
광릉추모공원 안에 위치한 광릉 더 크레스트는 제10회 대한민국 건축 대전 대상 수상자이자 상암 MBC 센터, 부산 벡스코 컨벤션 센터와 영화의 전당, 경주 문화예술회관 등 국내외 많은 예술적 건축물 설계에 참여한 박희준 건축사(A.I.A, NEWYORK)의 작품으로 그 자체가 하나의 예술품으로 승화하였다. 주변의 자연경관에 순응하면서도 고인에 대한 기억을 오롯이 담아낸 영혼의 그릇과도 같은 곳이 광릉 더 크레스트다.
또한 광릉 더 크레스트에는 최정화 작가의 ‘연금술 시리즈’ 중 가장 큰 규모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으며, 설치미술의 권위자 박기진 작가의 ‘초상들’ 및 사물을 통해 인간 관념의 서사를 이야기하는 배성미 작가의 ‘입구와 출구’ 등 깊이 있는 작품들을 곳곳에서 만날 수 있어 고인을 위한 추모의 시간이 마치 작품처럼 느껴지고 이곳을 들어서는 순간부터 나서는 순간까지 모든 순간이 특별해지는 국내 유일의 고품격 봉안당이다.
서울에서 30분 거리에 위치한
배산임수의 명당
광릉 더 크레스트는 서울에서 30분 거리에 위치한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에 있다. 조선 7대 왕 세조의 무덤과 동일한 능선과 배산임수의 명당에 자리 잡고 있어 명당 위에 명당으로 꼽히는 곳이다. 30만 평의 대지 위에 모든 자리가 남향인 이곳은 4계절 언제 오더라도 입구에서부터 자연의 숨결과 환대를 느낄 수 있다. 부모님께로 걸어가는 길, 부모님 곁에 머무는 시간 그리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까지 그 모든 순간을 산책과 힐링의 시간으로 만들어준다. 또한 광릉 더 크레스트는 이러한 지리적, 공간적 장점만 있는 곳이 아니라 감성적 장점까지 갖춘 곳이다.
공간과 감성의 장점을 더한
국내 유일의 공간
광릉 더 크레스트에는 많은 유명 작가의 작품들이 함께 전시되어 있어 부모님과의 추억을 더욱 특별하게 만들어 준다. 그중 공간을 성찰과 사유의 작품으로 승화시킨 김승영 작가의 ‘기억의 방’이라는 공간은 그 자체가 주는 울림이 상당하다.
이곳에서는 한 공간 안에 물과 촛불 그리고 음향과 스테인드글라스 등 각기 다른 소재로 설치된 작품들이 서로 어우러진다. 그 결과 명상과도 같은 침묵의 시간을 선물함으로써 고인을 추모하고 자신을 돌아보게 만든다. 이렇게 아름답고 깊이 있는 여러 작품과 함께 성묘를 마친 후 길 하나를 건너면 바로 이어지는 서운동산 또한 이곳에서 시간을 더욱 특별하게 만들어 준다.
서운동산은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자연 속 가든 리조트로 16곳의 테마 정원을 산책할 수 있다. 동물 체험 등의 다양한 경험을 아이들과 함께할 수 있다. 곳곳에 아름답게 자리 잡은 카페와 레스토랑 그리고 펜션은 온 가족이 기쁜 마음으로 성묘를 마무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렇게 성묘라는 것이 힘들고 어렵기만 한 것이 아니라, 온 가족이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부모님을 뵙고 함께 추억하는 행복한 순간으로 바뀌게 되는 것이 바로 광릉 더 크레스트가 제안하는 새로운 성묘 문화이다.
광릉추모공원은 광릉의 능선으로 이어진 풍수지리학적 명당에 자리하고 있다. 총면적은 약 840,000m²(약 25만 평) 대지 위에 반세기 넘는 세월 속에서 인위적이고 인공적인 조성을 배제하고 오로지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아름답게 관리하여 대한민국 최고의 '자연 묘원'으로 발돋움했다. 1969년 출범했다.
한국 전통 장묘문화와 새로운 세대의 니즈를 방영한 새로운 한국형 장묘 문화를 선도하고자 2010년 '재단법인 서능공원묘지운영회'로 재단 법인명을 변경했다. 유럽에서 시작한 자연친화형 수목장을 대한민국 최초로 도입하여 지속 가능한 자연형 테마 추모 공원으로 성장했다.